≪산야의것들≫/식물

광대나물

정주리 2007. 4. 18. 01:14

 

광대나물은 광대의 목에두르고있는 주름져서 나풀거리는 넓고 둥근 깃과 닮아 광대나물이라

불렀다합니다,
그리고 꽃이 코에붙어있는 코딱지와 비슷하다고 하여 코딱지 풀이라고도 합니다

 

광대나물은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생약명은 보개초 이다.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거풍작용이 있어 근육과 골격의 동통, 사지마비, 타박상으로 인한 골절상, 어혈동통을 다스린다.
이명으로 접골초, 진주연, 코딱지나물로도 부른다.  이름이 광대나물이라서 독초가 아닌가

오해할 수 있으나, 봄부터 초여름까지 연한 잎과 줄기를 나물로 삶아 먹으면 맛이 일품이다

 

 

 

 

 

 

 

 

 

▶식물명=광대나물

▶다른이름=코딱지나물

▶학 명=Lamium amplexicaule L.

▶분류=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광대나물

식물의 높이는 10-30cm이며 네모지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뭉쳐 나고 원줄기는 가늘며 자주빛이 돈다.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지름 1-2cm로서 엽병이 길며 원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반원형이고 양쪽에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엽액에서 여러 개의 꽃이 나와 윤생한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길이 5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잔털이 있으며 화관은 통부가 길고 하순이 3개로 갈라지며 상순은 앞으로 약간 굽고 바깥면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2강 웅예, 폐쇄화가 흔히 생긴다. 열매는 소견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도란형으로 전체에 흰 반점이 있다.이름이 광대나물이라서 독초가 아닌가 오해할 수 있으나 독이 전혀 없어 식용할 수 있는 안전한 약초이다.  봄부터 초여름까지 연한 잎과 줄기를 나물로 삶아 먹으면 맛이 일품이다.  봄철에 흔한 광대나물로 입맛도 살리고 가족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효능

전초를 보개초라하여 여름에 채취하여 약용한다.성분은 잎에는 iridocide의 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Lamoside, lamiol, lamiide, ipolamiide를 함유한다. 신선한 잎에 함유된 lamiide의 양은 약 0.02%이다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거나 따뜻하다.  풍사를 몰아내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그치게 한다.  근골동통, 혈액순환, 수족마비, 사지의 마비, 타박상, 나력을 치료한다. 

접골목과 같이 부러진 뼈를 재결합시킨다.  복용시 12~20그램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시는 짓찧어 붙인다.

 

'≪산야의것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풍취  (0) 2007.04.19
우산나물  (0) 2007.04.18
개별꽃  (0) 2007.04.16
수영(애기수영)  (0) 2007.04.02
독초 독버섯 구별하는범  (0) 2007.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