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글= 비수리
▶다른이름= 꾀꼬질, 비피락낭(제주)
▶학 명= Lespedeza cuneata G. Don
▶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으로 다년생 초본이다
▶비수리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늘며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선상 도피침형이고 절두 또는 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너비 2-4㎜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5-15mm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보다 짧으며 엽액에 모여 달리고 기판 중앙부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지고 각 열편은 길이 2-3mm로서 1맥과 견모가 있다. 열매는 협과로 넓은 난형이며 길이 3mm로서 10월에 암갈색으로 익고 잔털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장형에 가깝고 길이 1.5-2mm로서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점이 있다.
▶효능
뿌리가 달린 전초(全草)를 夜關門(야관문)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8-9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사용한다.
②성분 : Pinitol, flavonoid, phenol성(性) 성분, tannin 및 β-sitosterol을 함유한다. Flavonoid에서는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orientin 등이 분리된다.
③약효 : 肝(간), 腎(신)을 補(보)하고 肺陰(폐음)을 補益(보익)하며 散瘀(산어), 消腫(소종) 효능이 있다. 遺精(유정), 遺尿(유뇨), 白濁(백탁), 白帶(백대), 喘哮(천효), 胃痛(위통), 勞傷(노상), 小兒疳積(소아감적), 下痢(하리), 타박상, 시력감퇴, 目赤(목적-결막염),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肉類(육류)와 같이 뭉근한 불로 삶아서 복용한다.
야관문의 효능
야관문은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고 폐와 간, 콩팥에 주로 작용하는데 간과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또한 몽정, 대하, 설사, 타박상, 천식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또 열을 내리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이며 유방에 생긴 종기, 뱀에 물린 상처, 눈이 빨갛게 충혈된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위궤양, 탈항에도 효과가 있으며 야관문의잎, 뿌리, 줄기에는 플라보노이드,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 등이 있는데, 이들 성분이 염증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상구균, 연쇄상구균, 카타르구균 등을 죽이거나 억제한다.
(1) 양기부족
옛사람들은 이 풀을 꺾어서 묶어 빗자루로 쓰기도 했으며 이처럼 흔하고 천대받는 풀이 양기부족에 비아그라 못지않은 효과를 지녔으며 야관문은 이름 그대로 밤에 닫힌 문을 쉽게 열게 할 수 있는 약초이기 때문에 양기부족, 조루, 유정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야관문은 그냥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어서는 전혀 효과가 없고 차로 끓여 먹어도 마찬가지이며 야관문은 반드시 술로 우려내야만 그 진가가 나타난다.
(2) 기침에도 탁월한 효과
야관문을 9-10월에 채취하여 잘 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쓰기도 하고, 신선한 것을 그대로 약으로 쓸 수도 있다. 말린 야관문 80그램에 물 한되(1.8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100밀리리터쯤 되게 농축하여 설탕을 약간 넣고 한 번에 50밀리리터씩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10일 동안 복용하기를 몇차례 반복한다.
야관문은 기관지염이나 기관지천식을 기침을 심하게 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는 데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3-4일 만에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고 10일 이상 지나야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약을 먹는 동안 일종의 명현반응으로 현기증이 나거나 속이 메스꺼우며 구토가 나고 설사를 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입 안이 허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며칠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증상이 가벼운 사람일수록 효과가 빠르고 증상이 몹시 심한 사람도 잘 듣는다. 80퍼센트 이상이 낫거나 호전된다.
(3) 간열로 눈이 침침하고 눈이 충혈시
야관문 40그램과 꿀 약간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한 시간 가량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밥 먹고 나서 먹는다. 혹은 가을철에 야관문 씨를 받아 가루 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먹거나 가루를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야관문을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4) 설사, 급성위염
야관문의 뿌리, 잎, 줄기 말린 것 100그램을 잘 게 썰어 물 1.2리터에 넣고 200밀리리터가 되게 농축하여 고운 천으로 거른다. 이것을 3-5시간마다 어른은 50밀리리터씩, 아이나 노인, 허약한 사람은 어른 양의 반이나 3분의 2쯤으로 줄여서 계속 먹는다. 하루나 일주일 사이에 대개 낫는다.
(5) 당뇨병
야관문 30~50그램에 오골계 살코기를 적당하게 넣고 은근한 불로 푹고아서 먹는다. 아니면 하루에 말린 야관문 40~80그램에 물 한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차 대신 마신다. 야관문은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데에도 상당한 효력이 있다.
(6) 기력부족, 허약체질
야관문 뿌리 40~80그램, 꿀 30그램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 씨를 가루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하루 두세 번 먹어도 좋다.
(7) 신경쇠약
야관문 뿌리 30-40그램에 물 한 되를 붓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 두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은 신경쇠약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2) 약초주 담그는 방법
* 야관문을 흐르는 물에 헹구듯이 씻어준 다음 다시 완전건조를 하여 줍니다.
* 설탕 500g을 준비한다.
* 야관문을 넓은 입병에 처음 100g정도를 깔고 그 위에 설탕을 뿌려서 재어준다.
*술은 35도c 정도의 담금 주를 이용하고 3병을 천천히 부어준 다음 완전 밀봉한다
* 햇빛과 음지가 교차하는 지점에 보관한다.
* 이때 술을 담근 날짜를 주병에 적어놓는다.
* 약 100일 후에 뚜껑을 열어서 긴 막대를 이용하여 담금 주를 5 분 정도 휘 저어준다.
* 다시 밀봉하여 100일 정도를 숙성하여준다.
3) 음용방법
* 건더기는 버리고 술은 냉장고에 보관을 하셔서 시원하게 먹으면 된다.
* 하루 2~3잔 정도가 적당하다.
▶ 부작용없는 천연 비아그라 야관문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말로는 비수리라고 하며 한자로는 절엽철소추(截葉鐵掃?),
야관문(夜關門), 삼엽초(三葉草), 야계초(野鷄草),
반천뢰(半天雷), 폐문초(閉門草), 공모초(公母草),
음양초(陰陽草), 백관문초(白關門草), 야폐초(野閉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야관문은 밤에 빗장을 열어 주는 약초라는 뜻이니 그 이름이 묘하다.
이것을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또 큰 힘을 나게 한다 하여 대력왕(大力王)이라고도 하며,
뱀을 쫓는다고 하여 사퇴초(蛇退草)라는 이름도 있다. 야관문은 흔한 풀이다.
옛사람들은 이 풀을 꺾어서 묶어 빗자루로 쓰기도 했다.
야관문은 이름 그대로 밤애 닫힌 문을 쉽게 열 게 할 수 있는 약초다.
여러 가지 남성 질병,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다.
2-3일만 복용하면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전혀 없는 천연 비아그라의 효능을 지닌 약초라고나 할까.
그러나 야관문을 그냥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차로 끓여 먹어도 마찬가지다.
야관문은 반드시 술로 우려내야만 그 진가가 나타난다.
35도 이상 되는 증류주에 야관문을 술 양의 3분의 1쯤 넣고
3개월쯤 우려내어 한 잔씩 마신다.
특히 신장기능이 허약한 노인들의 양기부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원식물] 절엽철소추 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견보초지자, 소엽호지자라고도 한다.
[채집] 9~10월에 채집하여 날 것을 그대로 쓰거나 햇볕에 말려 쓴다.
[성분] pinitol, flavonoid, 페놀성 성분, tannin, B-sitosterol이 들어 있다.
flavonoid에서는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등이 분리된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1, <전남본초>: "성질은 약간 따듯하고 맛은 매우며 약간 쓰다."
2, <복건민간초약>: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3, <사천중약지>: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4, <곤명민간상용초약>: "맛은 매우며 약간 쓰고 성질은 평하다."
[귀경] <민동본초>: "폐, 간, 신의 3경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간신을 보양하고 폐음을 도우며
어혈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유정(몽정), 유뇨, 백탁, 백대, 천식, 위통, 노상, 소아 감적,
설사, 타박상, 시력감퇴, 목적, 급성 유선염을 치료한다.
1, <전남본초>:
"창양종독을 치료하고 창옹을 풀어준다."
2, <질문본초>:
"타박상을 치료하며 달이고 찐 것은 어혈을 없앨 수 있다."
3, <분류초약성>:
"홍붕, 백대, 설사를 치료한다."
4, <복건민간초약>:
"간을 돕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이뇨, 해열 작용이 있다."
5, <귀주민간약물>:
"칼에 베인 상처를 치료하고
탈항을 수축시키며 황달을 치료하고 근육과 힘줄을 풀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6, <사천중약지>:
"허약 유뇨, 남자, 백탁, 여자 백대, 음허기약을
치료하고 유즙을 통하게 하고 감질을 치료한다."
7, <호남약물지>:
"열을 내리고 수렴하며 풍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헤르니아를 치료한다."
8, <민동본초>:
"폐를 촉촉하게 하고 음을
기르며 간을 보익하고 신을 자양한다. 야맹증, 도한, 유정, 요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20~40그램(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약 기운을 환부에 쏘이거나 찧어서 바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