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ttp://blog.naver.com/m6819/50003560407 | ||||||||||||||||||||||||
다른이름 분
류 특
징 10명 중 1명 정도는 옻을 타며, 그래서 옻을 만질 때는 손과 얼굴에 기름(식물유 또는 광물유)을 바르고 해야
하며 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는다. 크
기 개 화 기 분
포 용
도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한다. 나무껍질이 어릴 때에는 매끄럽고 회백색인데 성장함에 따라서 거칠어지고 세로로 균열이 생기고 햇가지에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25~40cm정도의 가는 줄기에 작은 잎들이 9~11개 마주보고 나며 형태는 계란형으로 끝은 점차적으로 날카로운 형이고 쐐기형 또는 둥근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황록색 작은 꽃이 5~6월에 모여서 피고 과실이 익는 시기는 11월이다. 약성 및 활용법
옻 껍질을 약으로 쓰려면 50년 넘게 자란 굵은
나무의 껍질을 써야 효과가 뛰어나고 어린 나무는 약효가 약하다. 암을 치료하는 데는 백 년 넘게 자란 옻나무라야만 효과가 신통하다. 강원도의
삼척이나 정선군 쪽에 수백 년씩 된 야생 옻나무를 산에서 더러 발견할 수가 있다.
▶옻은 뱃속의 적병에 효과가 탁월하다.
적병이란 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뭉쳐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암이 되기 전 단계에 있는 어혈이나 염증이 뭉친 것이다. 적병에는 마른 옻 껍질
5근, 맥아 볶은 것, 신곡 볶은 것 각 3근, 공사인 볶은 것, 백출, 금은화, 산사육, 인삼 각 2근, 계내금 볶은 것 1근, 원감초, 건강
각 반 근, 경포부자 5냥과 함께 누런 토종개 한 마리와 한데 넣고 오래 달인 뒤에 엿기름을 넣고 조청을 만들어 두고 작은 숟가락으로 하나씩
먹는다. 이 약조청은 갖가지 속의 냉증이나 체한데 등에도 효과가 크다. ▶늑막염이나 골수염, 관절염 치료에도 옻을 쓴다. 털과 똥을 빼낸 오리 한 마리를 삶아서 식힌 후 기름을 걷어 내고 금은화 1근 반, 마른 옻 껍질 1근, 지네 300 마리를 넣고 오래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약물이 1되쯤 되게 졸여서 조금씩 자주 먹는다. 5마리 이상 먹어야 완치가 가능하다. ▶만성 위염, 위궤양, 뱃속의 덩어리가 생긴 데 등에는 닭 한 마리의 내장을 꺼낸 다음 그 속에 옻나무 껍질을 가득 채워 넣고 삶아서 그 물과 고기를 먹는다. 한 마리를 이틀 동안 먹는다. 한번 먹어서 효과가 없으면 서너 번 더 해서 먹는다. 혈액형이 O형인 소양체질의 사람은 옻이 심하게 오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옽이 심하게 오르면 띠 뿌리 달인 물을 마시고 또 그 물로 씻는다. ▶담낭결석이나 신장, 방광결석에는 앞의 방법대로 옻닭을 만들어 먹거나 날달걀에 구멍을 조금 내어 생옻을 조금 넣어 마신다. 하루 3~5번씩 먹는다. 또는 달걀 10개를 까서 그릇에 담은 다음 거기에 옻진을 약간 넣고 끓여서 그것을 하루 동안에 다 먹는다. 극심한 통증이 멎고 결석도 차츰 녹아 없어진다. ▶늑막염, 간경화증으로 인해 복수가 찰 때
등에도 옻닭을 만들어 먹는다. 대개 서너 마리 만들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수고 12m, 직경 40cm까지 수평적으로는 강원도
원주 지역에 재배 흔적이 가장 많으며 그 밖의 지역에서는 단목으로 희귀하게 나타날 뿐이다. 바람이 막혀 있는 동남향의 산록, 하안, 발뚝 등이
적지이며 표고 900m까지도 식재가 가능하다. 토심이 깊고 돌이 섞인 석력토로서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곧게 올라가 층층이 가지를
수평으로 뻗어서 수형을 이루며 잎은 기수일회우복엽으로 호생하고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40cm이며 소엽은 길이 7∼20cm, 넓이 3∼6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으로 9∼13개이다. 꽃은 자웅잡가화로서 5월에 연한 녹황색으로 피며 원추화서는 액생하고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25cm이다. 열매는 지름 6∼8mm의 편과형 핵과로 10월에 연한 황색으로 익는다. 옻나무의 수액을 옻이라 하여 칠기 및 공업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옻을 구충, 복통, 통경, 변비, 어혈, 여인경맥 불통에 사용한다. 옻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피의 납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미기로 종피를 얇게 갈 아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옻껍질의 효능> 옻나무는 주로 줄기의 껍질을 약재로 쓰는데 이것을 한약명으로 건칠피라고 한다. 옻은 살충. 해독. 청혈. 소화. 살균. 이수등의 효과가 있으므로꾸준히 복용하면 일체의 성인병이 예방된다. 또 옻에 의해 소멸된 균은 다시 되살아나지 못한다. 암세포의 경우 살균한 후에 그 세포의 표면을 방부 처리 해버리므로 다시는 재발이 없는 것이다. 그 방부 처리의 효과를 응용하여 피부의 노화방지 약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옻은 각종 암과 난치병 치료에 실로 산삼과 맞먹는 효과가 있다. 옻은 간장에서는 어혈약이 되어 염증을 치료하고, 심장에서는 청혈제가 되어 모든 심장병을 다스리고, 위장에서는 소화제가 되고, 폐에서는 살충제가 되어 결핵균을 멸종시키고, 신장에서는 이수제가 되므로 오장육부의 모든 질병을 다스린다. 실로 만병통치약이라 할 만하다. 그뿐아니라 신경통, 관절염, 피부병에도 훌륭한 효과를 발휘한다.
옻나무는 生氣(생기)를 주재하는 歲星(세성)과 殺氣(살기)를 주재하는 천강성의 별 정기를 아울러 받으며 자라므로 옻 속의 살기는 인체의병독을 소멸시키고 생기는 몸 속의 질병을 다스린다.
옻은 원래 操熱(조열)한 약이지만 닭.오리.토끼.개. 등과 함께 조화를이루면 난치병에 이루 말할 수 없이 좋은 약이 된다. 각종 유방질환과 심장질환, 폐질환 예방에는 옻닭을, 간암이나 경화 등의 간 질환 예방에는 옻토끼를, 방광과 자궁 신장질환 예방에는 옻오리탕을, 비위질환예방에는 옻염소나 옻개탕을 복용한다. 오리의 약성은 알카리성 식품으로 맛이 짜며 극강한 공해 해독제이다 아름다운 꽃은 먼저 꺾이고 곧은 나무는 먼저 잘린다. 세상에서 쓸모 있는 것은
제명대로 살기 전에 해를 입는다. 옻나무도 쓸모가 많아 해를 쉽게 당하는 그런 나무다. 옻은 고대에서부터 도료로서
매우 쓸모가 많았다. 그래서 옻나무를 많이 심었고, 큰 나무로 자라기 전에 다 잘라서 썼다. 산의 나무는 쓸모가 있으므로 잘려나가고, 기름은 불에 타기 때문에 스스로를 태운다. 세상에서 쓸모없는 것이야말로 천명을 누릴 수 있다는 장자의 가르침이야말로 난세를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초월자의 지혜인지도 모른다. 옻나무는 그 칠(漆)이 오래 전부터 사람의 관심을 모았다. 2천 5백 년 전 공자(孔子)가 편찬한 <시경(詩經)>에 ‘산에는 옻나무가 있고’라는 글귀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옻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조선 때 이미 옻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사군의 하나라고 하는 낙랑은 요즘 역사학자들이 그 존재를 부정하고 있기도 하지만, 어쨌든 낙랑고분으로 알려진 고분에서 발굴된 칠기(漆器)들은 수천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은은하고 화려하며 고고한 품위와 빛깔을 잃지 않고 있다. 초식동물들이 옻순을 가장 좋아하는 이유
옻나무는 한 개의 잎대궁에 작은 잎들이 마주 달리고 끝에 하나가 달린다. 이른 봄 새순을 꺾어서 날로 먹고 나물로 무쳐서 먹기도 하는데 부드럽고 맛이 괜찮다. 옻순을 먹는 민족은 세계에서 우리 민족 뿐이다. 우리 겨레는 옻순만이 아니라 독초로 알려진 식물을 많이 먹고 있다. 두릅나무의 어린 순, 심지어 천남성이나 미나리아제비까지도 물에 오래 담가서 독을 웬만큼 빼고 먹는다. 천남성이나 나리아제비는 그냥 먹으면 입안과 위장이 타 버리고 호흡이
마비되어 죽는 무서운 독초다. 가을 야산 양지쪽에 새빨갛게 이글이글 타는 단풍은 거의 틀림없이 개옻나무거나 옻나무 친척인 붉나무, 그리고 화살나무다. 옻나무 껍질은 회색이 섞인 황색인데 유월부터 시월까지 껍질에 상처를 내면 특이한 냄새가 나는 잿빛 진이 나오는데 이것이 옻이다.
옻나무 근처에만 거거나, 칠기점 앞을 지나가기만 해도 옻이 오른다.
|
'≪산야의것들≫ > 아름다운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지 (0) | 2007.03.26 |
---|---|
더덕 (0) | 2007.02.24 |
[스크랩] 접골목나무 (말오줌나무. 딱총나무) (0) | 2007.02.21 |
[스크랩] 소태나무의 효능 (0) | 2007.02.21 |
[스크랩] 붉나무 (0) | 200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