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10일
4월23일
5월19일
6월6일
6월23일
라넌큘러스 | 심는시기= 9~10월 | 꽃피는시기= 3~4월 |
▶식물명=라넌큘러스
▶학명=Ranunculus asiaticus L
▶분류=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총칭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
▶라넌큘러스
라넌큐러스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작물로서 세계적으로 지중해, 유럽동남부, 터어키, 이란, 이스라엘등 북반구에 약 400종 정도가 자생하고 우리나라에도 몇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현재 재배되고 있는 것은 R. asiaticus종이다
라넌큐러스는 뿌리가 변하여 양분저장 기관으로 된 덩이뿌리(괴근)로 구근의 눈은 흰털로 싸여 있고 모양은 다알리아와 비슷하다. 꽃받침은 5개 또는 3개이고, 꽃잎은 5개 또는 그 이상이며 내부에 보통 1개의 밀선이 있다. 화색은 황색이 많고, 백색, 적색, 청자색등이 있다.
가을에 발아하여 잎이 나오고 생육하여 봄에 개화한다. 구근생산 또는 절화재배후의 구근은 6월경 장마가 오기전에수확한후 건조시켜 보관한다. 개화후 22~24℃정도의 고온 및 건조 상태에서는 생육이 정지되고 휴면에 들어가 발아를 하지 않지만 구근에 물을 흡수시켜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켜주고 온도를 5~15℃의 저온에 2~3주간 두면 맹아한다 구근은 20℃이하의 온도에서 맹아하여 개화되지만 꽃눈(花芽)의 형성 및 발달은 저온이 필수적이다. 화아의 형성은 야간최저 5~10℃정도에서 재배하면 가장 빠르고 이보다 높은 고온에서 재배하면 늦어진다. 또 5℃의 습윤상태에서 4주간 처리하면 화아형성 및 개화는 촉진되나 꽃수가 감소하고 절화품질이 나빠진다.
▶재배기술
라넌큐러스는 큰 구근과 중간구근을 이용하여 싹틔움(催芽)처리후 저온처리하여 연내에 출하하는 작형이 대부분이다. 또 고냉지의 작형은 냉장처리에 의한 촉성재배로서 8월에 정식하여 10월부터 출하가 가능하기 때문에 라넌큐러스의 출하기도 10월~5월까지 장기간 출하되고, 절화의 출하도 종자재배(實生)에 의한 절화재배기술 발달로 인해 출하기간도 확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난지에서는 이른 봄에 출하하는 무가온 하우스재배 작형도 가능하다. 재배는 구근재배와 실생재배가 있고, 구근재배에는 보통재배와 촉성재배가 있다.
(1)화분재배
육묘는 구근실생의 절화재배와 같은방법으로 하면된다. 화분의 용토는 유기질이 많고 약산성이며 배수가 잘되야 한다. 초장이 긴품종의 구근을 화분에 심을 경우 왜화제 SADH 0.2~0.4%를 2~3회 살포한다. 처리시기는 잎이 화분을 덮을 정도로 무성한 12월 하순경에 1회 살포하고 화경을 더 억제하려면 1월 중,하순경에 2번째 살포하고, 3번째는 필요시 2월 상, 중순에 살포 한다.
(2)구근을 이용한 절화재배
구근 절화재배는 일반적으로 보통재배 및 촉성재배로 나누고, 구근을 정식하는 시기는 9월 하순에서 10월초순이다. 구근은 매우 건조한 상태이므로 갑자기 물을 흡수시키면 구근이 터지거나 부패하기 쉬우므로 촉촉하게 젖은 톱밥에 묻어 서서히 흡수시킨다.
구근 냉장처리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습한 톱밥속에 구근이 담긴 저장상자를 8~10℃온도에서 30~40일간 저장한다. 10℃이상되면 저장중에 싹이 자라므로 주의한다. 구근을 정식한 후에는 온도가 높지 않게 서늘한 상태로 만들어 주고 고온시에는 차광을 하여 생육을 좋게한다. 토양은 깊고 유기질이 풍부한 것이 좋고, 산성인 경우는 석회를 시용하여 pH6.5정도로 조절해 주어야 한다.
너무 과습하면 병충해 발생이 많으므로 배수를 양호하게 해주어야 한다. 비료는 유기질비료를 중심으로 밑거름을 많이 하고 웃거름은 입자상의 비료를 일찍 주거나 물비료를 준다. 촉성재배시 온도관리는 11월 상순 또는 중순에 비닐을 씌우고 온도가 10℃이하가 되지않게 가온하다. 무가온 재배시는 기온이 내려가면 비닐을 씌워 보온하고 1월이후는 꽃봉오리가 올라오므로 동해를 입지 않을 정도로 가온한다.
또 냉장촉성재배의 경우 가온하면 1월 까지는 대부분의 꽃이 개화하므로 , 가온을 중지하고 저온에 두면 새로운 싹이 올라와 3월경에 재개화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