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명=지느러미 엉겅퀴 [welted thistle,Carduus crispus]
▶ 다른이름=지느레미엉겅퀴, 엉거시
▶학명= Carduus crispus
▶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분포지역= 동북아시아 ·유럽
▶서식장소 산과 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30-40cm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밑부분이 줄기의 날개와 합쳐지고 길이 5-20cm로서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둔두로서 가시로 끝나고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다.
▶열매 =수과는 길이 3mm, 지름 1.5mm이며 관모(冠毛)는 견사(絹絲)모양이고 밑이 합생하며 길이 15mm이다.
▶꽃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7-27mm이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20mm, 지름 17-27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점차 짧아지고 중편과 더불어 선상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끝이 가시로 되어 퍼지거나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백색이며 길이 15-16mm이다.
▶줄기 =높이가 70-10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모서리가 있고 날개가 달리며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원산지 =유럽과 서아시아 원산
▶분포 =▶유럽, 시베리아, 코카서스, 동부아시아 지방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이년초(월년초)
▶크기 =높이 약 70~100cm 내외이다
***이용방안 ***
▶어린순을 나물로 하며 껍질을 벗긴 줄기의 연한 부분을 생으로 먹기도 한다. ▶全草 혹은 根을 飛廉(비렴)이라 하며 약용한다.
1)겨울에서 봄에 걸쳐 뿌리를, 여름에는 줄기, 잎, 꽃을 채취하며, 신선한 채로 사용하던가 혹은 햇볕에 말린다.
2)성분 : 줄기에는 降壓(강압) alkaloid, acanthoidine(ruscopine)과 acanthonie(ruscopeine)을 함유한다.
3)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利濕(이습), 凉血(양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風熱(풍열)에 의한 감기, 頭風(두풍)으로 인한 현기증, 風熱(풍열)에 의한 痺痛(비통), 皮膚刺痒(피부자양), 尿路感染(요로감염), 유미뇨, 尿血(요혈), 帶下(대하), 타박으로 인한 瘀腫(어종), (정창종독), 화상을 치료한다.
4)용법/용량 : 신선한 것을 30-60g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로 해서 혹은 술에 담가서 사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던가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를 만들어 塗布(도포)한다.
5)연한 줄기는 껍질을 벗겨서 생으로 먹을 수 있고, 어린잎을 먹는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비렴(飛廉)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관절염·감기·간염·소변 출혈·요로감염증 등에 효과가 있고, 치질과 종기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동북아시아와 유럽에 널리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