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나방

밤나무장수유리나방

정주리 2008. 9. 3. 19:33

밤나무장수유리나방

 

 

 

 

 

 

1. 유리나방의 의태

곤충류의 벌의태는, 파리, 등에류나 하늘소류로 잘 관찰된다. 나방에서는 유리나방과와 애기나방과가 잘 알려져 있다. 이 그룹에 속하는 모든 종들은 어느 정도 벌을 의태하고 있다. 두 그룹이외에 곡식좀나방과의 Vespitinea, 그림날개나방과의 Cotaena, 감꼭지나방과의 Dolophrosynella, Heliodinidae의 Anypoptus, 알락나방과의 Burlacena, 밤나방과의 Cocytia, 박각시과의 Satapes 등이 있지만, 대부분 동양열대 종류가 많다(Robinson & Carter, 1989). 나방의 벌을 의태하는 효과정도는 실험적으로 확인되어있는 것이 없지만, 그들의 조금 두꺼운 복부에 검색과 황색 또는 적색이 띠모양은 매우 눈에 띄며, 형태나 행동은 놀라울정도로 벌과 비슷하다. 경고색은 표식적의태로 전형적 베이츠형 의태이다.

 

2. 색채의 의태

한국산 유리나방중에는 쌍살벌이나 장수말벌등을 닮은 여러 가지타입을 볼수 있다. 복부의 색채모양이 벌류의 흑색과 황색, 흑색과 등황색의 띠모양은 눈에 띄는 경고색의 색채패턴이다. 종류로는 밤나무장수유리나방(왼쪽), 복숭아유리나방(가운데), 노란무늬유리나방(오른쪽)등 복부에 황색, 등황색의 굵은 띠가 1∼3개가 있고, 비행중은 물론, 정지중도 벌류를 완전히 의태하고 있다.밤나무장수유리나방의 수컷와 암컷은 색채가 다른 성적이형을 나타내고 있다. 수컷은 복부의 흑색에 가는 황색의 띠모양으로 쌍살벌을 의태하고, 암컷은 복부는 흑색에 조금 굵은 등황색의 띠모양으로 장수말벌류를 의태하고 있다. 게다가 밤나무장수유리나방의 성충출현시기는  장수말벌류과 같이 매우 늦은 9월하순에서 10월상순에 걸친다. 정확하게 장수말벌류의 개체수가 가장 많은 시기에 밤나무장수유리나방의 출현시기가 일치하는 것은 놀라운 이야기다.벌류의 색채의 띠의 수, 폭등은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새가 이것을 벌의 한종류로 식별한다고는 생각할수 없다. 새에 따라서는 황색띠의 위치나 수보다도 흑색복부에 황색띠가 있는 색채모양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경고신호로 작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 유리나방은 같은속 내에서 반점무늬의 패턴나 색채가 서로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종의 구별을 매우 곤란하게 한다.

 

3. 체형의 의태

호박벌류나 뒤영벌류의 체형은 전체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다른 벌에서 느낄수 없는 중량감이 느껴진다. 털보다리유리나방(사진)과 청띠유리나방은 후각 경절에 긴 장모가 있어 마치 화분바켓을 연상시킨다. 일본산 유리나방 중 Maroscelesia longipes yamatoensis는 후각 부절이 매우 길다. 이종은 비행시에는 나나니벌을 의태하고, 정지시에는 거미류를 의태한다. 세계적으로 많은 종류는 아니지만 호리병벌류나 감탕벌류처럼 복부가 첫마디가 잘록한 유리나방도 발견된다. Milisipepsis takizawai 같은 유리나방은 나방의 신체적 특성상 복부 1, 2절은 두꺼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복부의 첫마디가 가늘게 진화한 벌을 의태하고 있다. 이것은 형태적으로 경이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형태의 이미지가 벌을 의태하고 있는 것은 띠모양등의 색채가 의태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표식적 의태로 생각된다.

 

4. 행동의 의태

유리나방은 형태뿐만아니라 행동에서도 벌과 비슷한 것이 많다. 유리나방의 성충은 날씨가 좋은 날에도 비행하지만, 날씨가 흐린날에도 활발하게 날아다니며 흡밀한다. 털보다리유리나방은 꿀벌류이나 호박벌류처럼 꽃에서 흡밀할 때 앞다리를 꽃에 걸치고 공중에서 호버링을 하며 뒷다리를 [ く ] 형태로 교차한다. 유리나방류의 중 어떤 종은 장수말벌처럼 비행한다. 유럽산 Sesia apiformis(장수유리나방(사진)과 비슷한 종)의 비행음은 장수말벌의 일종인 Vespa crabro와 기본적으로 같은 진동음을 낸다(Rothschild, 1985). 비행이 포식자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알수 없지만, 적어도 사람의 귀에는 거의 같게 들린다.

현재까지 유리나방 성충의 생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또 다른 새로운 의태가 발견되기를 기대해 본다.

--- <출처-네이버 검색>---

'≪곤충≫ > 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는나방  (0) 2009.05.11
박쥐나방  (0) 2008.09.17
나방?  (0) 2008.09.03
배붉은흰불나방  (0) 2008.09.03
얼룩매미나방  (0) 2008.09.03